초록 |
○ 여기서는 일본원자력학회 표준위원회 리스크전문부회가 취급한 확률론적 리스크평가(PRA)방법 또는 그 활용에 관한 표준을 소개하고 있다. 리스크전문부회는 여러 가지 PRA표준책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PRA의 품질(온라인 슬롯 사이트 추천적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온라인 슬롯 사이트 추천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 표준강습회를 개최하여, PRA표준의 이해와 리스크평가방법 및 그 고찰방법을 널리 전파하고 동시에 리스크연구자 및 온라인 슬롯 사이트 추천자의 논의 장으로 리스크평가 연구전문위원회도 설치하고 있다. ○ PRA표준은 사용하기 쉽고, 알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해석매뉴얼과 같은 표준으로 하면, 사용자의 판단에 PRA프로세스가 들어갈 여지가 없어질 우려가 있다. PRA프로세스의 여러 곳에서 공학적 판단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늘 넓고 깊게 생각해야 한다. ○ PRA는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결과는 불확실성의 폭을 가진 것이 된다. 그래서 의사결정에 제공될 때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불확실성의 취급을 검토해 나가야 한다. 또, PRA가 실제시설에 적용되어, 여러 가지 의사결정에 제공될 때, 인정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은 품질이 확보되는 PRA표준이어야 한다. ○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종합안전연구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확률론적으로 평가하는 PSA(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소프트웨어인 “불확실성 분석 프로그램(MOSAIQUE)'를 일본원자력 안전기반기구(JNES), 독일 원자력안전협회(GRS), 스위스 파울쉐러연구소(PSI) 등 3개국에 제공하는 사용협정을 체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