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딥 슬롯 트위터 기본정보

인수공통전염병 유발 세포내 기생세균의 에너지대사와 증식 저해물질의 탐색 및 이의 적용

연구딥 슬롯 트위터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딥 슬롯 트위터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딥 슬롯 트위터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5-09-01
과제시작년도

연구딥 슬롯 트위터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상대학교
연구책임자 이후장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Salmonella spp.에 대한 항균활성 및 증식억제 물질의 탐색 및 이의 적용 (1차년도) (1) 세포내 대사저해/증식억제물질 탐색: S. typhimurium, S. gallinarum, S. pullorum의 macrophage 감염 및 증식억제 실험 결과, 나트륨복합조성물(SCC, 15mM sodium chlorate+0.1mM sodium azide+0.1mM sodium cyanide)의 균 대사저해 및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2) 실험동물 감염실험: 각각의 균을 감염시킨 마우스에서, SCC를 음수로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마우스의 생존율 증가 및 분변 중 균수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3) 가축 적용실험: S. typhimurium 감염 자돈 및 S. gallinarum/S. pullorum 접종 육계에 SCC를 7일 동안 급여한 결과, 분변지수 개선 및 분변 중 균수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자돈과 육계에 각각 SCC 유효농도 4배까지 음수로 7일 동안 급여한 결과, 체중 및 혈액학적ㆍ혈액생화학적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2.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 및 증식억제 물질의 탐색 및 이의 적용 (2차년도) (1) 세포내 대사저해/증식억제물질 탐색: E. coli O157:H7에 한약재복합추출물(CGSC, 황련:감초:오미자:산수유=1:1:1:1)을 첨가·배양한 결과, 배양 18시간 후, 모든 투여군에서 균의 증식억제가 나타났다. (2) 실험동물 감염실험: E. coli O157:H7 감염 마우스에, CGSC(10%)와 SCC를 각각 음수로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투여한 모두 군에서 분변 중 균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3) 가축 적용실험: E. coli O157:H7 감염 자돈 및 송아지에 CGSC(10%)+SCC(30mM)(1:1)를 음수로 7일 동안 급여한 결과, 분변지수 개선, 분변 중 균수 감소를 확인하였다. 자돈과 송아지에 조성물 합제를 각각 4배와 2배 음수로 7일 동안 급여한 결과, 자돈과 송아지 모두 체중과 혈액학적ㆍ생화학적 변화가 없었다. 3. Streptococcus suis 및 Streptococcus pyogenes에 대한 항균활성물질 탐색 및 이의 적용 (3차년도) (1) 항균활성 및 증식억제물질 탐색: 천연물을 이용한 항균활성 탐색 결과, S. suis와 S. pyogene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는, 각각 오배자 2.0 mg/ml, 오배자와 연교합제 1.6 mg/ml으로 확인되었다. (2) 실험동물 감염 실험: S. suis 감염 마우스에 오배자(20mg/kg)+15mM sodium chlorate(1:1) 합제(GS)를, S. pyogenes 감염 마우스에 오배자+연교(GF)를, 각각 12일 동안 투여하여, 생존율이 70%와 50%이었다. (3) 가축 적용실험: S. suis 감염 자돈에 오배자+sodium chlorate 합제(GS)를 사료혼합하여 14일 동안 급여한 결과, 자돈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S. pyogenes 감염 젖소분방에 GF 5 mg/ml을 투여한 결과, 우유 중 S. pyogenes의 균수가 투여 3일째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자돈과 젖소분방에 각각 GS와 GF를 4배까지 각각 14일과 3일 동안 투여한 결과, 자돈과 젖소의 혈액학적ㆍ혈액생화학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4. Brucella spp.에 대한 항균활성물질 탐색 및 이의 적용 (4년차) (1) 세포내 대사저해/증식억제물질 탐색: B. abortus와 B. ovis에 오배자추출물, 염소산나트륨, 오배자+염소산나트륨을 첨가·배양한 결과, 배양 16시간 후에 오배자추출물(200 μg/ml), 염소산나륨(7.5 mM), 오배자추출물+염소산나트륨 합제(GS, 0.4 mg/ml)에서 균의 성장 및 증식억제가 나타났다. (2) 실험동물 감염실험: B. abortus와 B. ovis에 감염된 각각의 마우스에, GS를 음수로 14일 동안 투여한 결과, 투여한 모두 군의 비장에서 균수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3) 가축 적용실험: B. abortus 양성 젖소에 GS를 음수로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B. abortus 혈액 항체가 저하, 백혈구 중 균수감소가 있었다. B. ovis를 감염시킨 염소에 GS를 음수로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백혈구 중 균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젖소 및 염소에 GS를 각각 4배까지 음용수로 7일 동안 급여한 결과, 젖소와 염소 모두 혈액학적ㆍ생화학적 변화가 없었다. 5. Campylobacter spp.에 대한 항균활성물질 탐색 및 이의 적용 (5년차) (1) 세포내 대사저해/증식억제물질 탐색: C. jejuni와 C. coli에 대한 항균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 C. jejuni와 C. coli에 각각 오배자추출물+계피추출물(GCE)과 황련추출물+오배자추출물(CGE)가 가장 높은 항균활성 및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실험동물 감염실험: C. jejuni와 C. coli에 감염시킨 각각의 마우스에, 각각 GCE와 CGE를 음수로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투여한 모든 군에서 분변 중 균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3) 가축 적용실험: C. jejuni 접종 육계에 GCE를 음수로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맹장 내용물 중 균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C. coli 접종 돼지에 CGE를 사료에 혼합하여 7일 동안 투여한 결과, 분변 중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육계 및 돼지 혈액의 혈액학적ㆍ생화학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097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딥 슬롯 트위터표준분, ICT 딥 슬롯 트위터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딥 슬롯 트위터표준분류
ICT 딥 슬롯 트위터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