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슬롯 다이 기본정보

2017년 국내 유통 수산물의 동물용의약품 시험법 개선 및 모니터링

연구슬롯 다이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슬롯 다이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슬롯 다이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슬롯 다이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본 연구는 수산물 중 동물용의약품 등 잔류물질 안전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신뢰성 있는 시험법 확보와 국내 유통 수산물의 잔류물질 안전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실태조사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산물 중 잔류물질에 대한 신속·정확한 모니터링과 포지티브리스트 시스템(PLS, 2020년 시행) 도입에 대비하여 신뢰성 있는 시험법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모니터링 대상으로는 동시 다성분 스크리닝법을 적용하여 총 51종에서 추가적으로 신규 적용 대상 품목인 처방대상 동물용의약품 8종 및 불법사용 가능 축산용 의약품 10종을 동물용의약품 동시다성분 분석법으로 확립된 69종 물질에 대해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된 시험법은 식품공전 중「수산물 중 51종 동시 다성분 시험법」과 개별시험법을 검증하여 모니터링에 적용하였고, 동시 다성분 시험법(물질 18종 추가) 및 개별시험법(메틸렌블루, 디아제팜 및 니트로빈 등)을 개선하였다. 국내 유통 수산물을 대상으로 지역별(인구비례), 마켓별(도매시장, 대형마트 및 인터넷), 수산물섭취량을 고려하여 전국적으로 시료를 수거하고, 검증된 시험법을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동물용의약품 모니터링을 위한 시험법은 검증을 통하여 CODEX 가이드라인 71-2009를 충족하도록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동시다성분 시험법은 기준신설물질 5종(데하이드로콜산, 비치오놀, 세파드록실, 푸마길린, 페노뷰카브), 에톡시퀸 및 불법사용 축산용 동물용의약품 등 24종을 포함하여 최종 69종 동시시험법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수산물 중 니트로빈 원물질 시험법 확립, 활 장어 중 메틸렌블루 정량분석법 및 붕어 중 디아제팜 정량분석법을 개발하였다. PLS도입에 대비하여 잔류물질(유기인계 등 농약) 71종에 대한 LC-MS/MS에 대한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국내 유통 수산물 중 69종 동물용의약품의 잔류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넙치, 볼락, 장어, 미꾸라지 등 18품목 411건을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74건의 수산물에서 29종의 동물용의약품이 검출되었으며 6건의 부적합이 확인되었다. 시료 411건 중 동물용의약품 총 검출률은 42.3%로 나타났다. 검출된 동물용 의약품 중 해수어에서는 넙치와 볼락이 각각 26.0%와 25.0%를 차지하였고, 담수어에서는 미꾸라지와 장어가 각각 52.0%와 24.0%로 비율을 보였다(100% 기준). 동물용의약품으로는 엔로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의 검출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검출률은 각각 21.2%(87건), 12.2%(50건), 10.7%(44건) 이었다. 그러나 검출된 동물용의약품의 ADI 대비 실제섭취추정량(EDI)은 섭취자 섭취량으로 계산한 결과, 엔로/시프로플록사신(합으로써, 30.1%) 아목시실린(23.0%) 옥시테트라사이클린(14.2%)순이었으며, 전체 평균 섭취량으로 계산하였을 때에는 아목시실린(0.34%) 플로르페니콜(0.18%) 엔로/시프로플록사신(합으로써, 0.18%) 순이었다. 즉, 전체 평균 섭취량으로 ADI 대비 실제섭취추정량 결과는 국내유통 수산물 섭취로 인한 동물용의약품 노출은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해정보에 따라 메틸렌블루, 디아제팜 정량시험법을 신속하게 확립하여 긴급검사지시 시험법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내 생산 및 수입 수산물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기반을 마련하였다. 국내 유통 수산물 중 동물용의약품 잔류실태조사 결과, 최근연구('16년)과 달리 부적합률이 1.46%로 나타났다. 이는 식품안전관리지침을 통한 수산물 검사강화지시 및 집중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검출율 또한 다소 증가하였기 때문에 국내생산 및 유통 수산물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성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사업에서 개발 및 개선된 수산용 동물용의약품 시험법은 향후 식품공전 시험법에 제·개정하고, 안전한 국내유통 수산물과 국민보건을 향상하기 위해 지속적인 잔류실태조사를 통하여 궁극적인 수산물 중 잔류동물용의약품의 안전관리 강화 및 정책지원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356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슬롯 다이표준분, ICT 슬롯 다이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슬롯 다이표준분류
ICT 슬롯 다이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