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 안전성 강화를 위한 세부기준 및 시험방법 베가스 슬롯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연구책임자 신동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최종년도 목표 가. 표준제정: 국가표준 KS 제정 1건, 단체표준 제정 2건 나. 국제표준화 활동: 국제회의 참가 3회 (주관기관 1회, 참여기관 2회) 다. 기반구축: 세미나 또는 공청회 개최 2회(주관기관 2회) 2. 해당 사업 목적 및 중요성 가.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 안전성 강화를 위한 표준의 필요성 -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시설로 자리 잡은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에서 최근 화재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국내 실정에 맞는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에 관한 세부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한 표준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임 - 이러한 상황에서 본 과제를 통하여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의 구성요소인 PCS, PMS에 대한 표준뿐만 아니라 시스템 차원의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안전성 및 성능평가, 환경영향평가를 다루는 표준을 개발하고자함 3. 수행 내용 및 범위 가. 표준제정 - 리튬이온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BESS) - 안전 관련 PMS의 구축 및 운영 가이드라인 국가표준 제정 1건 (주관기관) - KSGA-025-4:2020 ED4.0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용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요구사항 단체표준 개정 1건 (주관기관) - KSGA-025-5-4:2020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 - 제4부: 리튬이온 이차전지 기반 ESS 시스템 전기적 안전요구사항 및 시험방법 단체표준 제정 1건(참여기관) 나. 국제표준화 활동: 국제회의 참가 3회(주관기관 1회, 참여기관 2회) - ESS 관련 IEC TC120 국제표준 회의 참석 및 최신 표준화 동향 모니터링 (주관기관 1회) - PMS 및 EMS 인터페이스 관련 IEC TC57 WG10 국제표준 회의 참석 및 최신 표준화 동향 모니터링(참여기관 2회) 다. 세미나/공청회 개최(주관기관 2회) - 스마트그리드 표준 세미나 개최(2019.10.18., 코엑스) - ESS 표준화 국가표준 공청회 개최(2020.06.26., 블랙스톤 벨포레) 4. 과제 수행 성과 1. 표준 제안 및 제정 ○ 국가표준 KS 제정 - 목표 : 1건 - 성과 : 1건 - 비 고 : 국가표준 제정 진행중 (기술심의회 심의완료) ○ 단채표준 제·개정 - 목표 : 2건 - 성과 : 2건 - 비 고 : 100% 달성, 주관기관: 1건 개정, 참여기관: 1건 제정 2. 국제 표준화 활동 ○ 국제회의 참가 - 목표 : 3회 - 성과 : 3회 - 비 고 : 100% 달성, 주관기관: 1회, 참여기관: 2회 3. 기반구축 ○ 세미나/워크숍 개최 - 목표 : 2건 - 성과 : 2건 - 비 고 : 100% 달성 * 국가표준 제정: 현재 국가표준 제6차 전력기기 기술심의회(‘20.12.17 개최) 심의 결과 승인되었으며 국가표준 제정까지 표준회의 심의(표준안에 대해 부처 간 중복 여부, 국가표준의 형식 부합화 등에 대한 심의)만을 남기고 있음. 코로나 19로 인한 표준회의 개최에 물리적 어려움이 있어 주관기관은 국가기술표준원에 표준회의 심의를 지속적으로 요청하여 표준 제정을 완료할 예정임 5. 활용 방안 및 기대 효과 가.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용 PMS 인터페이스 국가표준 - 현재까지 국내외적으로 BESS용 PMS에 대한 표준 및 가이드 될 수 있는 자료가 없는 상황에서 본 표준을 BESS의 안전성을 더 확보하기 위한 PMS의 역할 및 요구사항에 대한 가이드로 활용할 수 있음 - ESS 관련 업체 및 SI 업체들이 본 표준에 따라 PMS를 개발 및 구현하여 PMS 기술 수준 향상 및 BESS 안전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ESS 안전 점검사항에 대해 전기직 종사자의 안전 관련 규정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제 안전관리 현장 업무에 활용할 수 있음 나.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의 안전 요구사항 대한 세부기준 및 시험방법 단체표준 - 정부의 ESS 보급 사업이나 에너지 융복합 사업, 에너지자립섬 사업, 한전의 F/R 사업, 배전급 ESS 사업 등으로 현장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 다양한 용도의 ESS에 대하여, 안전평가를 통한 신뢰성 검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ESS 화재 안전성 관련 국제(IEC TC21 SC21A, TC22, TC120) 표준화를 주도하고 국내 단체표준 및 인증기술을 확보할 수 있음 다. 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용 PCS 안전 요구사항 단체표준 개정 - ESS용 PCS는 산업부에서 KS C IEC 62477-1로 안전성에 대한 인증을 추진 중이며, 본 단체표준은 개정을 통해 KS에서 다루지 않는 안전과 성능 및 배전계통에 연계되기 위한 요구사항과 시험방법을 통해 ESS용 PCS가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게 PCS 업체 및 시험기관이 활용 가능함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 촉진에 관한 규정(제2020-10호)에 따라 한국에너지공단의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표준으로 활용 (출처 : 요약서(초록)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59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베가스 슬롯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베가스 슬롯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