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최근 몇몇 연구를 통하여 plasminogen activators(PAs)의 생리학적 기능이 알려졌으며, 이러한 생리학적 기능은 포유동물의 번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사람과 설치류에서 PAs는 난자의 성숙과 착상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버 슬롯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이들 역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돼지의 번식 과정에서 PAs의 역할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1) 돼지의 수정 및 착상기간 동안 자궁 및 난관 상피세포에서 PAs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와 신호기전을 구명하고, 2) 생식세포-난관 및 배아-자궁세포간의 상호작용에서 PAs의 기능 및 발현변화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과제의 수행으로 얻은 결과는 돼지의 수정과 착상에 대한 PAs의 기능과 자궁 및 난관내의 환경조절 mechanism을 밝힘으로써 가축의 수정과 착상과정을 이해하고, 복제 및 형질전환 된 수정란의 낮은 착상률을 개선함으로서 가축의 불임원인 구명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데 최종 목표를 두고 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연구는 돼지의 수정 및 착상과정에서 PAs의 역할 및 조절기전 구명을 목표로 3년간 수행되었다. 1차년도 연구 목표는 자궁상피세포에서 PAs 조절인자 및 신호 기전 구명으로, 돼지의 번식생리에 중요한 cytokine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umor necrosis factor alpha 및 interleukin 1 beta에 의한 PAs 활성 및 발현이 다르게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estrogen과 progesterone에 의한 변화 역시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인자의 신호기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차년도 연구는 돼지의 수정 시 PAs의 조절 및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돼지 정자에서 외인성 tPA의 처리는 원형질막에 손상을 유도할 수 있고, 수정 과정 중 PAs 및 PA inhibitor(PAI)의 처리는 단정자 침입, 투명대 용해 및 수정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는 돼지의 착상과 정 동안 자궁 상피세포-배아 상호작용에서 PAs의 조절 및 기능 확인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외인성 PAs에 의한 integrin 및 PAs의 변화를 구명하였으며, 자궁상피세포-수정란 상호작용에서 세포간 부착 인자, PAs의 발현 및 활성 조절 관련 인자의 발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3년간의 연구 수행동안 얻은 결과는 연구 목표를 모두 달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결과는 지식의 진보 측면에서 자성생식기관 내 수정 및 착상에 대한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으며, 포유류 번식생리에 대한 기초지식 진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자성생식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난임의 원인을 부분적으로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결과의 활용은 PAs의 활성 조절을 통한 포유류의 임신율 향상 기술 개발에 기여하며, 수정 및 착상 기간 동안 PAs 및 plasmin 조절에 관여하는 인자의 분석을 통한 임신률 예측 기술 개발에도 활용 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