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신규 식품원료인 국내 모자반류의 항알츠하이머성 치매 작용기전 슬롯 머신 구매: Computational Docking Simulation을 기반으로 한 Multi-Target Approach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슬롯 머신 구매기관, 슬롯 머신 구매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슬롯 머신 구매기관 동아대학교
슬롯 머신 구매책임자 전미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Ⅰ. 연구제목 신규 식품원료인 국내 모자반류의 항알츠하이머성 치매 작용기전 슬롯 머신 구매: Computational Docking Simulation을 기반으로 한 Multi-Target Approach Ⅱ. 연구개발 목표 선행연구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AD) 예방활성이 일부 확인된 신규 식품원료인 모자반류를 이용하여, (1) ADMET/Tox 및 BBB penetration 여부를 예측하는 QSAR 모델링 분석 (2) 타겟 효소 단백질과의 결합예측이 가능한 Computational docking simulation을 기반으로 유효 후보 물질을 선정한 후 (3) 신규 AD 표적 단백질인 RAGE, LRP-1, (pGlu)-Aβ, AChE-Aβ complex에 집중하여 (4 )Aβ 독성으로 인한 Amyloidogenic pathway 저해 기전, 산화스트레스 의존적 미토콘드리아 정상화 조절 기전, 항염증 작용기전 및 체내 항산화 시스템과의 상호 연관성을 다각적이고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써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기반 의약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입증을 최종 목표로 함. Ⅲ. 연구개발 내용 Chemical, in Silico and in Vitro Approach · 모자반류 추출물의 세포 수준에서의 생리활성 평가 기반 유효물질 분리, 동정 및 구조분석 · 우수 활성 분획/유효성분의 Target enzymes 저해작용, 저해모드 및 Kinetic mechanism 분석 · Computational docking 및 QSAR 모델링 분석을 통한 최적화된 후보물질 발굴 in vitro Cellular Approach · Amyloidogenic pathway 저해기전 검증 · GSK-3β/Nrf2 조절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회복을 통한 산화스트레스 억제 작용기전 연구 · LRP-1/RAGE 및 NF-κB/MAPKs 조절을 통한 Aβ 상호작용 및 염증조절시스템 연구 in Vivo Approach · 치매동물모델을 이용한 Amyloidogenic pathway 저해기전 연구 · in vivo 세포사멸 및 염증반응 조절효과 검증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모자반류의 생리활성 기반 유효물질 탐색 및 computational modeling을 통한 후보물질의 최적화 - chemical, in silico and in vitro approach (달성율: 100%) ① 모자반류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기반 유효물질 분리, 동정 및 구조분석 - 모자반류 추출물 제조, fractionation 및 bioactivity-rich fraction을 중심으로 한 유효성분 탐색 및 화학적 구조 분석 - 추출물 및 유효물질의 Target enzymes 저해작용, 저해모드 및 Kinetic mechanism 분석 - PC12 세포주를 이용한 Aβ 유도독성에 대한 세포보호효과 평가 ② Computational docking 및 QSAR 모델링 분석을 통한 최적화된 후보물질 발굴 - 타겟 단백질-유효성분의 Docking simulation을 통한 최적의 binding pose, binding affinity, lowest binding energy 및 binding sites 예측 - QSAR 분석을 통한 ADME/Tox 와 BBB 통과여부 연구 (2) 유효물질의 Amyloidogenic pathway 저해기전, GSK-3β/Nrf2와 미토콘드리아 조절 기반 산화 스트레스 억제, LRP-1/RAGE 및 NF-κB/MAPKs 신호전달체계 저해를 통한 항염증 조절 시스템 연구 - Cellular approach (달성율: 100%) ① Amyloidogenic pathway 저해기전 검증 - Transfected APPsweN2a 세포주를 이용한 amyloidogenic pathway 저해 기전 연구 ② GSK-3β/Nrf2 조절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회복을 통한 산화스트레스 억제 작용기전 연구 - Aβ 유도 세포사멸에 대한 GSK-3β/Nrf2 역할 및 작용기전 연구 - 유효물질의 Nrf2 활성화/항산화 효소 발현 및 Nrf2 상위 인산화 효소 제어 효능 연구 - 미토콘드리아 기능회복 기전 연구 ③ LRP-1/RAGE 및 NF-κB/MAPKs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Aβ 상호작용 및 항염증 조절 시스템 연구 - LRP-1/RAGE-Aβ 상호작용 억제 효능평가 - Aβ 유도 RAGE 발현증가에 따른 항염증 상위 신호전달경로 (MAPKs) 조절연구 - NF-κB 신호전달경로 작용기전 및 하위 표적단백질 발굴 (3) 치매동물모델을 이용한 후보물질의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효과 연구 - Animal model approach (달성율: 100%) ① in vivo Amyloidogenic pathway 저해기전 검증 - 기억력 손상 유발 쥐의 행동 약리학적 연구 - Amyloid neuritic plaque 응집 및 Aβ/BACE1 조절 평가 ② in vivo 세포사멸 및 염증반응 조절효과 검증 - GSK-3β/Nrf2 pathway 표적 단백질 규명 및 제어 연구 - RAGE/LRP-1 발현 및 RAGE/NF-κB/MAPKs pathway 관련 표적단백질 제어 연구 - 항염증 매개 바이오마커 분석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지금까지 육상식물에 비해 연구가 등한시 되어온 해양식물 중 신규 식품으로 등록된 모자반의 새로운 기능성, 특히 항치매효과와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AD 예방성분의 분자구조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산화스트레스 억제 및 항염증 저해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실질적인 기능성 제품 또는 기능성 소재로의 상품화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됨. ⦁ 모자반류 유래 AD 예방성분의 화학적 구조 동정과 항AD 작용이 규명되면 현재 단순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모자반류에 대한 고부가가치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천연의약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함. ⦁ 본 연구를 통해 항치매 효과를 지닌 해양식물을 포함한 천연물질을 탐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됨으로써 추후 천연물 소재를 대상으로 연구 가능한 발판 마련이 기대됨. ⦁ 국내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식용/약용자원의 중요성이 재인식됨으로써 식품분야의 교육에 대한 환류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짐.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44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