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슬롯 잭팟 기본정보

한우의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발생 현황 및 제어 방안 연구

연구슬롯 잭팟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슬롯 잭팟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슬롯 잭팟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슬롯 잭팟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책임자 소경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 한우 지알디아와 크립토스포리듐의 예방 및 관리 기술 마련을 통한 농가 대응방안 마련 - 송아지 생후 시기별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발생 조사 - 간이검사 키트, 미생물 검사, PCR 검사 등을 통한 발생률 조사 - 한우 성장 단계별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발생률 조사 - 원인체 종류별 치료 방법 마련 - 한우 사육 환경에서의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감염 조사 - 생후 시기별 적절한 예방, 관리 방법 마련 전체 내용 ○ 한우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발생률 조사 - 송아지 생후 시기별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양성률 조사 - 설사 및 정상 분변에서의 발생률 분석 - 간이진단 키트 검사, ELISA, PCR 검사 등을 통한 원인체 분석 -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단독 감염, 복합 감염 비율 조사 등 ○ 한우 사육 환경에서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검출 현황 조사 - 축사바닥, 수조, 사조, 음수 등에서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검출 현황 조사 - 축사 주변 하천에서의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검출 현황 조사 ○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치료 및 예방 방법 연구 - 병원체별 대동물 임상 현장 적용 중인 치료 방법 비교분석 -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예방, 치료 방법에 대한 국내외 문헌 조사·분석 - 내·외부 기생충 구제제, 항콕시듐제, 항원충제 투여에 의한 치료 및 예방 효과 확인 ○ 원충 서식 억제를 위한 위생적인 축사관리(소독 등) 방안 마련 ○ 원충성 질환 다발 시기를 고려한 적정 치료·예방적 처치 방법 설정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 < 정성적 성과 ○ 한우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발생률 조사 * PCR 검사 - 크립토스포리듐(C. parvum) 다발시기는 송아지 1~3주령(92%), 지알디아(Giardia) 다발시기는 송아지 1~5주령(71%), 6~11주령(24%) - 계절별 원충 감염 발생 특성: 봄부터 여름까지 발생률 높음(봄 여름 가을·겨울) - 크립토스포리듐(C. parvum) 양성률은 22.9%, 지알디아(Giardia)는 11.3% - 분변상태별 크립토스포리듐 검출률은 반고형과 수양성 형태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지알디아는 수양성 분변에서 검출률이 높은 경향이 있음 - 병원체 양성 시료에서 이상분변을 나타내는 비율이 88~89% 수준으로 높음 - 크립토스포리듐 단독 감염률이 71.5%, 지알디아 단독 감염률이 86.8%로 높음 ○ 한우 사육환경에서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검출 현황 조사 - 병원체 양성이력이 있는 농가 주변 하천 일부에서 크립토스포리듐 양성 확인: 난포낭 (oocyst) 74개/10L * 지알디아는 음성 ○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치료 및 예방 방법 연구 - 병원체별 대동물 임상 현장 적용 중인 치료 방법 조사·분석 제시 - (지알디아) 감염을 막기는 어려우나 축사 위생 개선이 최선 - (크립토스포리듐) 동물 간 전파 차단을 위한 사양관리와 위생 개선이 핵심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연구개발성과 : ○ PCR 진단 기법 확립 (nested PCR, qPCR) 예상 활용분야 : ○ 축사 위생관리 ○ 송아지 사양관리 활용방안 : ○ 환경 내 원충 오염 여부 확인 및 고위험 시기에 위생수준 정밀 분석 ○ 설사 증상을 보이는 가축의 감염 여부 확인 및 감별진단 도구로 활용 연구개발성과 : ○ 학술적 성과 예상 활용분야 : ○ 동물 질병과 위생학 분야 활용방안 : ○ 동물 원충성 질환에 대한 후속연구에 바탕 자료로서 활용 연구개발성과 : ○ 원충 제어방안 예상 활용분야 : ○ 축사 위생관리 ○ 송아지 사양관리 활용방안 : ○ 다발 시기를 고려한 농가기술지도에 적용 ○ 기대 효과 - 지알디아, 크립토스포리듐 감염축에 대한 국가적 질병감시·관리 역량 향상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92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슬롯 잭팟표준분, ICT 슬롯 잭팟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슬롯 잭팟표준분류
ICT 슬롯 잭팟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