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잭팟 슬롯 기본정보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자의 난치성 자궁 육종 억제 효능 및 기전잭팟 슬롯

연구잭팟 슬롯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잭팟 슬롯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잭팟 슬롯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잭팟 슬롯 개요

주관잭팟 슬롯기관, 잭팟 슬롯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잭팟 슬롯기관 성균관대학교
잭팟 슬롯책임자 황재령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임상에서 피임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자 (Selective progesterone receptor modulators: SPRMs)의 난치성 자궁 육종을 억제하는 효능과 그 기전연구를 통하여 난치성 자궁 육종에 특이적이며 효과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함 ○ 전체 내용 - UPA와 RU486의 Uterine LMS 세포사멸을 in vitro와 in vivo에서 연구함. 세포사멸과 관련된 작용기전도 밝힘 - Selective progesterone receptor modulators (SPRMs) 인 Ulipristal acetate (UPA)와 Mifepristone (RU486) 2가지 약물이 4가지 Uterine LMS cell lines (MES-SA, SK-UT-1, SK-LMS-1, SKN)에서 in vitro 세포사멸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음. - 세포사멸과 관련된 Functional mechanism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4가지의 세포주에 UPA를 처리한 후 RNA를 분리하여 cDNA microarray 분석을 하였음. 그 결과, 분석한 4개의 세포주중에 3개의 세포주에서 가장 많이 억제된 유전자로서 CCL2를 발견하였음. 따라서 UPA에 의한 CCL2의 억제를 in vitro에서 검증하였고 CCL2와 관련한 Signaling pathway를 연구하였음 - 그 결과 UPA가 STAT3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그 downstream signal인 CCL2의 발현을 저해하였음을 밝힘 - UPA의 in vivo에서 암 성장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MES-SA- 와 SK-UT-1-derived xenograft mice model과 Uterine LMS 환자의 암 조직을 동물에 주입하여 patient-derived xenograft mouse model을 제작한 후 UPA의 in vivo efficacy 실험을 수행한 결과 UPA가 tumor growth를 억제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음 - Uterine LMS 환자의 PDX 암 조직으로 Primary cell culture를 한 후 UPA를 처리하여 세포사멸, CCL2 발현, STAT3 signaling pathway를 본 결과 in vitro 세포주 실험에서와 일치하는 결과를 도출하였음 - 또한 2차년도 in vivo 연구에서 나온 mouse tumor tissues에서 in vitro data를 검증하기 위해 phospho-STAT3 및 total STAT3 발현을 Immunohistochemistry 염색으로 확인하였음 - 이러한 결과들을 모아서 SCI급 저널에 논문을 투고한 상태임 □ 연구개발성과 SCI급 저널에 논문을 투고 중에 있으며 2023년 미국 AACR학회에서 포스터 발표함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본 연구성과는 약물의 in vitro 및 in vivo 효능연구와 작용기전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방법을 제시하게 될 것임 - cDNA microarray 방법으로 작용기전 연구의 실마리를 찾는 방법을 제시함 - cDNA microarray 분석 결과 나온 유전자들의 변화는 Uterine LMS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것임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62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