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오키 도키 슬롯 기본정보

초고속 광기술 기반 바이오 플라즈모닉 슈퍼오키 도키 슬롯의 동역학적 거동 규명 및 최적화 설계

연구오키 도키 슬롯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오키 도키 슬롯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오키 도키 슬롯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4-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오키 도키 슬롯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포항공과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원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우수한 화학적/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박테리오파지 등 바이오 물질을 주형으로, ① 2종 혹은 그 이상의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Bio-plasmonic building block 개발 - 이종 금속 나노입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독특한 ② Near-feild enhancement 및 ③ Hot electron dynamics 등 빛-물질 상호작용 및 동역학적 특성 규명 - 3차원 프린팅 공정중 플라즈모닉 슈퍼구조의 ④ 자기 조립 메커니즘 규명 및 ⑤ 대면적 3차원 구조체 어레이 기술 개발 - 최종적으로는, 바이오-플라즈모닉 슈퍼구조의 동역학적 / 광학적 특성을 규명하여 제어하고 3차원 프린팅을 통해 친환경 광촉매 등에 적용 가능한 광학 소재로 최적화 ◼ 전체 내용 - 금, 은 등의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는 빛에너지를 수집 및 방출하는 특성이 뛰어나 광촉매, 태양전지, 메타 물질 등의 다양한 광학 응용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됨 - 특히 플라즈모닉 슈퍼구조에서는 강한 근접장 향상 효과 및 Subradiant mode에 의해 발생하는 hot electron이 풍부한 특성 등 특이한 물리 현상이 나타남 - 플라즈모닉 슈퍼구조의 근접장 향상 효과 및 hot electron의 특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입자 및 물질을 구조체의 “hot spot”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음 - 이러한 이유에서 플라즈모닉 “hot spot”에 기능성 입자를 통합하는 안테나-반응기 (Antenna -reactor) 이종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높은 효율을 가지는 소재의 설계를 위해서는 플라즈모닉 구조의 간격 및 핫스팟의 분포 및 구조 동역학 등에 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함 - 슈퍼구조 제작은 복잡한 리소그래피 공정이나 화학 합성 과정이 요구되며, 현재까지 개발된 이종 시스템에 다양한 물질들을 적용하기 어려움.즉, 폭넓은 물질들에 걸친 빛-물질 상호작용 연구가 제한됨 - 이에 더해 플라즈모닉 슈퍼구조는 복잡한 3차원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종 슈퍼구조로 제작하는 것은 더욱 어려움 - 물질의 제약 없이 다양한 이종 슈퍼구조를 준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신방법론이 필요함 - Bio-plasmonic building block 및 3차원 프린팅 기술을 통해 물질의 제약 없이 다양한 이종 슈퍼 구조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음 - 광주파수 빗 기술을 통해 슈퍼구조의 입자간 간격 및 hot spot의 분포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슈퍼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함 - 이를 통해 기존에 없던 탁월한 이종 슈퍼구조의 빛-물질 상호작용 및 동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성능/고효율 광학 소재를 개발할 수 있음 ◼ 1단계 ❏ 연구 목표 - 바이오 물질을 주형으로 하는 이종 나노입자 슈퍼구조체 개발 - 개발된 이종 나노입자 슈퍼구조체의 빛-물질 상호작용 연구 - 3차원 프린팅을 통한 슈퍼구조체 제작 및 자기 조립 메커니즘 규명 ❏ 연구 내용 - 플라즈모닉 입자 : 이종 입자 = 40:60에서 플라즈모닉 입자 : 이종 입자 = 60:40에 해당하는 균일한 원소 비율 달성 - FDTD 시뮬레이션, PL lifetime 분석 및 광주파수 빗 등의 분석 및 측정법을 도입해 슈퍼구조체의 광학 특성 규명 - 다양한 물질 및 형태로 구성된 나노 입자들을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2단계 응용 연구 수행에 필요한 기반 기술 확보 - 3차원 프린팅을 통한 슈퍼구조체 제작 및 확산 방정식 등을 활용한 나노 입자 자기 조립 메커니즘 규명 ◼ 2단계 ❏ 연구 목표 - 1단계에서 확립한 3차원 프린팅 기반 슈퍼구조체 제작 기술을 통해 다양한 응용 분야 개척 - 광학 메타 소재 개발 - 질병 진단/환경 검사용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y(SERS) 플랫폼 개발 - 수소 분해 광촉매 소재 개발 - 대면적 슈퍼구조체 array 공정 조건 확립을 통해 메타 표면 개발 ❏ 연구 내용 - 비금속 나노입자 및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이종 슈퍼구조체 개발을 통해 광학 메타 소재 구현 - 금속 나노입자가 조밀 입방형으로 조립된 슈퍼구조체 사이에 감지 대상인체 유래 물질 및 환경 인자 등이 효과적으로 배치된 광학 구조체를 통해 높은 민감도의 질병 진단용 혹은 환경 검사용 센서 개발 - 빛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 가능한 금속 나노입자(플라즈모닉 나노입자)와 촉매 나노입자(팔라듐 등)로 구성된 이종 슈퍼구조체의 개발을 통해 광촉매 소재 개발 - 비금속 나노입자 슈퍼구조체를 넓은 면적에 대량 제작함으로써 렌즈, 홀로그램, 구조화 빛 등의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메타 표면 개발 □ 연구성과 - 바이오소재 (M13 bacteriophage)와 금속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바이오 플라즈모닉 슈퍼구조체 개발 (1년차 연구 목표 달성) - FDTD 시뮬레이션 및 PL lifetime 분석을 통해 개발된 슈퍼구조체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응용 가능성이 높은 분야들 제시 (2년차 연구 목표 달성) - 3차원 프린팅을 통한 슈퍼구조체 제작 및 확산 방정식 등을 기반으로 자기 조립 메커니즘을 규명 (3년차 연구 목표 달성) - 상기 연구 성과들을 기반으로 6편의 국제 SCIE 논문 게제 (Small (IF: 13.3), Small (IF: 13.3), Nano Letters (IF: 10.8), Small Structures (IF: 15.9), Nanoscale (IF: 6.7), Nanomaterials(IF: 5.3)) □ 연구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 '이종금속 클러스터'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리적 현상 해석 - '슈퍼구조화'에 따른 빛/물질의 집단전 거동 및 조립 양상 규명 -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론 제시를 통해 연구 진입장벽을 낮추고 해당 학문 분야 발전에 이바지 - 두가지 (혹은 그 이상) 물질로 구성된 자기 조립용 building block 준비 방법을 제시하여 자기 조립 접근법이 가지는 한계(coffee ring effect에 의한 물질 불균형 등) 극복 - 3차원 프린팅에 기반한 새로운 형태의 colloidal self-assembly 방법론 - 제시하는 방법론은 광범위한 물질들에 적용 가능하므로 광학 이외의 분야에도 널리 활용 가능함 - 빛-물질 상호작용과 연관된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 금속 나노입자를 중심으로 하는 플라즈모닉 광촉매, 센서 및 태양전지 - 비금속 나노입자를 중심으로 하는 유전체 메타물질 등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4000064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